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포스코, 인도 진출 가능할까...진출설 모락모락, 포스코는 신중모드

공유
2

[글로벌-Biz 24] 포스코, 인도 진출 가능할까...진출설 모락모락, 포스코는 신중모드

인도 정부가 인도에 신규 제철소를 세워 달라며 포스코에 꾸준히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과거 인도내 제철소 설립 무산 경험이 있는 포스코는 신중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인도 제철소에서 핫코일을 옮기고 있다. 사진=비즈니스스탠더드닷컴이미지 확대보기
인도 제철소에서 핫코일을 옮기고 있다. 사진=비즈니스스탠더드닷컴

9일 인도 매체 비즈니스스탠더드와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포스코가 인도 국영 철강회사 RINL이 공동으로 법인을 설립해 자국내에 신규 제철소를 세우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낱났다.

포스코 인도 냉연생산법인 포스코마하라슈트라의 방길호 법인장은 비즈니스스탠더드에 "일관 제철소 설립 가능성을 탐사하기 위해 안드라 프라데시 지역을 방문했지만 이는 정찰 성격이 더 크다"면서 "인도 정부는 RINL과 함께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를 희망하지만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방 법인장은 "인도에 신규 제철소를 건립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방 법인장은 "아르셀로미탈과 니폰제철도 인도에 신규 제철소를 세우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비즈니스스탠더드는 "포스코가 인도에 신규 제철소를 짓는 데 신중하다"고 평했다.

비즈니스스탠더드에 따르면, 인도 RINL과 포스코간 탐사차원의 논의는 지난해 주 인도 한국 대사가 이끄는 대표단이 이 제철소 부지를 방문할 때 시작됐지만 포스코는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

국내 철강업계는 물론 인도 언론들은 포스코가 2005년에 인도 정부와 맺은 업무협약(MOU) 진행이 더뎠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신중한 태도를 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당시 포스코는 인도 오디샤(Odisha)주로부터 철광석 6억t의 채굴권을 받는 조건으로 연 생산량 12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를 건설하기로 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 사업 초기에는 진행이 잘 되는 듯 했다. 2007년 인도 환경부로부터 제철소 건설을 위한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2009년 삼림지의 개발을 허가하는 환경부의 결정에 반발하는 세력이 급속히 늘어났고, 결국 삼림지 활용 승인은 유보됐다. 그리고 수년 동안 승인 철회를 반복하며 환경부, 환경단체, 기업의 분쟁이 지속됐고 결국 2012년 국가녹색재판소(NGT)의 환경 승인 철회 발표로 사실상 사업은 중단됐다.

대한무역투자공사(KOTRA) 보고서에 따르면, 이 사업은 포스코가 야심차게 추진한 프로젝트로 사업비만 120억 달러(약 13조5000억 원)에 이르는 초대형 사업이다. 지난 1991년 인도 정부가 시장개혁 조치를 한 이후 외국인 직접 투자(FDI)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고, 포스코의 국외 사업으로도 당시에는 최대 규모의 사업이었다.

인도 정부는 포스코를 유치하려 최선을 다했지만 인도 환경부와 환경단체의 거센 저항에 결국 포스코는 백기를 들었다. 이 같은 경험을 한 포스코가 인도 진출에 신중해 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인도 진출에서 백기를 든 것은 비단 포스코만이 아니다. 세계 최대 제철소인 아르셀로미탈은 2005년 자하르칸트주에 1200만t 규모의 제철소를, 2006년 오딧샤주에 비슷한 규모의 제철소를 짓는 MOU를 체결하고 뒤이어 카르나타카에 좀 작은 제철소를 건립하기로 했지만 진전을 이룬 것은 하나도 없다. 2013년엔 오딧샤주 제철소 건립 계획을 포기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2005년 진출 당시 인도정부는 포스코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지방정부의 반발 때문에 결국 구체적인 투자가 진행되지 못했다"면서 "현재도 인도 시장을 주시하고 있기는 하나 구체적인 투자 계획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