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기업 68.8% 근무시간 관리제도 도입

공유
0

대기업 68.8% 근무시간 관리제도 도입

이미지 확대보기


대기업 가운데 68.8%가 집중근로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생활균형제도 현황’을 조사한 결과, 144개 응답기업 가운데 68.8%가 일․생활균형 문화를 확산하는 한편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로 집중근무시간제, 협업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보고․결재 업무처리가 가능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등 전자결재시스템 개편’(56.3%∙복수응답), ‘보고자료 간소화, 회의 자제 등 보고․회의문화 개편’(52.1%), ‘자율좌석제 등 근무환경 유연화’(24.3%) 등을 도입하고 있었다.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56.3%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추가로 도입된 유연근무제 중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65.4%로 가장 많았고, ‘시차출퇴근제’(37.0%), ‘선택적 근로시간제’(35.8%),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14.8%)가 뒤를 이었다.

유연근무제 도입 효과는 ‘업무집중도 제고, 불필요한 야근 감소 등 조직문화 개선’(64.2%), ‘직무 몰입도 및 만족도 상승’(18.6%), 기업 경쟁력 강화(4.9%) 순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은 ‘업종·직무 특성상 적합하지 않아서’(41.3%), ‘직원 근태 등 인사․노무관리 어려움’(28.6%), ‘고객․거래처 및 타부서 등 대내외 소통 불편’(15.9%)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육아휴직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6.2%로 지난해 13.6%보다 2.6%포인트 높아졌다.

출산·육아지원 제도 실시에 따른 애로요인으로 ‘동료 직원의 업무 부담 증가’(54.2%)와 ‘휴가·휴직 급여, 대체인력 채용 등 인건비 상승’(11.1%), ‘남성 중심적 조직문화’(11.1%) 및 ‘직무연속성 결여로 생산성 저하’(7.6%)를 꼽았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