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세계 EV시장서 존재감 한층 부각 …제조업체, 중국 규제 따라 움직여

공유
1

중국, 세계 EV시장서 존재감 한층 부각 …제조업체, 중국 규제 따라 움직여

내년 1월부터 신에너지 차량 생산 최소 10% 의무화

중국 시장을 바라보는 자동차 메이커들은 내년 1월부터 중국 정부가 제시한 신에너지 차량의 최소 생산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시장을 바라보는 자동차 메이커들은 내년 1월부터 중국 정부가 제시한 신에너지 차량의 최소 생산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세계 최대를 자랑하는 중국의 전기자동차(EV) 시장이 한층 더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와 제너럴모터스(GM) 등 중국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외자계 메이커를 비롯해 국내파 비야디(BYD)와 베이징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업체들은 내년 1월부터 중국 정부가 제시한 신에너지 차량의 최소 생산요건을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운영되는 모든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는 2019년부터 생산되거나 수입되는 신에너지 자동차(BEV+PHEV+FCEV 포함) 환경 규제에 대응해야 하며, 단계적으로 생산 및 판매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후에도 중국 정부가 추구하는 목표치가 계속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체적인 대응력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내세운 규제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로 도입된 일명 '캡 앤 트레이드' 방식과 유사하다. 생산의 최소 요건을 채울 수 없는 자동차 메이커는 달성한 경쟁사로부터 크레딧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충분한 크레딧을 살 수 없을 경우 정부로부터 벌금을 부과받게 된다. 특히 최악의 경우는 제조라인에 대한 폐쇄 조치도 취할 수 있다.

2019년에는 크레딧 획득 목표가 10%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 또한 반드시 전체 판매 대수의 10%를 신에너지 자동차화 한다는 뜻은 아니다. 예를 들어 300㎞ 이상 연속 주행이 가능한 순수 EV는 이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차량에 비해 많은 크레딧을 가질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메이커의 경우 돈으로 메꿔야 한다. 다만 반대로 자금이 부족한 업체는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크레딧 목표는 2020년에 12%로 올라설 것으로 예고되며, 이후에도 화석 연료 자동차를 일소하겠다는 정부의 최종 목표 달성을 향해 치닫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을 바라보는 제조업체들은 목표 달성을 위한 개발 및 생산 측면에서의 노력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한편, 도요타와 피아트·크라이슬러·오토모빌스, 혼다, 미쓰비시 등 4개 업체는 대책의 일환으로 중국 광저우자동차 그룹이 개발하는 모델과 동일한 전기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ESUV)을 출시해 각 브랜드의 이름으로 판매할 계획이다. 독자적인 색상을 드러내는 마케팅이 존중되는 자동차 업계에서 이 같은 계획은 이상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각각의 메이커가 자기 기술을 개발하기까지는 일단의 타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유로 동일한 대응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 정부가 보내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시진핑 지도부는 2025년까지 연간 전체 판매 대수 약 20%에 해당하는 700만대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자동차로 대체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중국의 원유 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본토의 도시를 괴롭히는 스모그 대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체 연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지구 온난화 방지의 파리 협정으로부터 이탈 과정에 착수한다 하더라도 "전동화의 미래를 향한 길을 선도하겠다"는 것이 궁극적인 중국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번 규제로 자동차 시장에서의 중국의 존재감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