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한상의 “새로운 기회 만드는 쪽에 힘 실어줘야 혁신 가능”

공유
1

대한상의 “새로운 기회 만드는 쪽에 힘 실어줘야 혁신 가능”

- 상의, 美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 분석·제시
- ‘기존산업의 사업모델 파괴할 기회’ 규제 안해…‘기득권’엔 경각심, 투자자들은 관심 집중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 조언. 표=대한상의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 조언. 표=대한상의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경제의 지속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혁신성장의 모델로 ‘美 실리콘밸리형 혁신 방정식‘이 제시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2일 ‘美 실리콘밸리형 혁신 모델과 정책 시사점’ 연구 결과를 통해 “실리콘밸리는 ‘혁신의 성적표’로 불리는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을 전세계(260개)의 23%, 미국 전체(118개)의 51%에 달하는 60개사나 배출했다”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드는 쪽에 힘을 실어주는 혁신생태계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이 지역의 특허등록 건수(누적)는 약 2만 건으로 미국 전체의 13.5%를 차지하고, 미국 전체 벤처캐피털 투자의 40% 가량이 혁신적 사업모델을 찾아 이곳에 몰리고 있다”며 “정부의 큰 지원이나 간섭 없이 ‘시장의 신호’만 따라 창업과 사업 확장을 벌이는 실리콘밸리의 혁신방식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가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창업자 8인의 인터뷰를 토대로 정리한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에 따르면 △‘규제 최소화’ 필수 △ ‘인재의 자유로운 이동’ △‘투자’의 승수효과△실패에 관대한 문화가 ‘실패 위험’ 분산△‘혁신’이 ‘일자리 창출’에 기여 등이 혁신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실리콘밸리의 혁신의 첫 번째 조언은 ‘규제 해소’였다. ‘완화’ 수준이 아닌 ‘최소한의 규제’라야 신사업이 일어나고 창의와 도전이 활발해진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의 '해를 끼치지 않는(Do no harm)' 규제 원칙이 그 예시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발전 가능성이 있는 신기술·신사업에 대해 최소한의 규제가 적용된다. 시장이 커진 뒤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사후규제를 가하는 방식이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브릭스(Databricks)’를 창업한 이온 스토이카(Ion Stoica)는 “이 곳에는 구글(광고대행사), 우버(택시), 에어비앤비(호텔)처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기존 산업을 교란시키려는 스타트업들이 많이 있다”며 “큰 회사들이 언제든지 방법을 찾아내 그들을 망하게 할 수 있는 만큼, 작은 스타트업들은 아주 빠르게 움직이고 빠른 성장세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기업들의 새로운 도전과 자유로운 경쟁을 제약하지 않는 것이 실리콘밸리의 창업생태계”라며 “이런 방식이 기득권층에게는 기존 사업모델이 통하지 않고 언제든지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가 바뀔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게 해 혁신의 DNA를 자극하는 동시에 투자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인재의 자유로운 이동’ 또한 실리콘밸리의 혁신을 가속화시키는 중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온 스토이카는 “실리콘밸리에서는 오늘 회사를 관두고 내일 경쟁사에 취직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며 “근로자가 일정기간 동안 경쟁회사로 이직할 수 없는 ‘비경쟁합의(non-compete agreement)’가 이곳에서는 합법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재의 유동성은 회사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또 다른 핵심”이라며 “구글에서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트위터 등으로 옮겨가며 축적된 경험과 지식이 궁극적으로 새로운 회사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의 투자생태계는 ‘승수효과’로 표현됐다. 대한상의는 실리콘밸리에서는 스타트업들이 신속하고 과감한 투자를 받기 쉬울뿐더러, 투자자들을 통해 사업성장에 필요한 조언과 도움을 얻어 승수효과를 누릴 수 있는 구조라고 평가했다.

전기차 배터리 기술업체 ‘수퍼 카본(Super Carbon)’을 세운 브래들리 몸버그(Bradley Momberg)는 “실리콘밸리에서는 투자자와 커피미팅만 잘하면 30분 만에 2만 달러의 수표를 받을 수 있다”며 “사업이해도가 높은 1세대 창업가들이 투자자가 된 경우가 많아 경쟁력 있는 사업을 제안하고 기술적 우위만 잘 보여준다면 수십만 달러의 투자를 받는 게 불가능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유전자 치료기술 개발사 ‘젠에딧(GenEdit)’의 창업자 이근우씨도 “실리콘밸리에서는 똑똑한 사람들과 좋은 기술만 있다면 엔젤투자자부터 벤처투자자, 사모펀드(Private Equity)까지 여러 단계의 투자자들을 만날 기회가 많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또 ‘실패에 관대한 문화’ 역시 혁신에 필수요소라고 했다.

대한상의는 “실리콘밸리에는 당장 커다란 보상이나 안정적 일자리가 보장되지 않아도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며 일하려는 인재들이 많다”며 “설령 실패하더라도 뭔가에 도전했다는 경험 자체를 높이 사는 문화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실패에 관대한 실리콘밸리 문화가 ‘도전과 실패의 위험’을 분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빠르게 실패하고, 자주 실패하라(Fail fast, fail often)’는 실리콘밸리의 보편적 가치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경감시키고 있다”며 “실패를 낙오가 아닌 ‘배우는 경험’으로 인정하는 문화가 곧 혁신의 토양”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실리콘밸리의 혁신생태계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의는 “실리콘밸리의 지난 5년 간(2011~2016) 일자리 증가율은 21.6%로 미국 전역(9.5%)의 2배 이상에 달하고, 같은 기간 새로 창출된 일자리만 약 40만 개로 이는 삼성전자 국내 일자리(약 10만 개)의 4배에 달한다”라며 “스타트업의 도전과 경쟁을 뒷받침하는 혁신생태계가 시장의 파이를 키워 일거리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지난 1년 간(2017.2Q~2018.2Q) 페이스북의 일자리가 43%(2.1→3만명) 늘었고, 구글의 일자리도 19% 증가(7.5→8.9만명)했다”면서 “사업 기회 보장이야말로 일자리 창출의 특효약”이라고 강조했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