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17년 4대 철강(鐵强)] 장세욱 부회장 벼룩의 한계 ‘100년 기업의 초석’

공유
0

[2017년 4대 철강(鐵强)] 장세욱 부회장 벼룩의 한계 ‘100년 기업의 초석’

매출이익 급증 재무안정성 높여 ‘두 마리 토끼를 잡다’

[글로벌이코노믹 김종혁 기자] 한국 철강업계 4강(强)이 그 진가를 드러냈다. 예측을 불허한 극심한 시황변동, 철옹성 같은 글로벌 무역장벽, 저성장의 실체가 시장을 붙들어 맨 2016-2017년이었다. 실적은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었고, 투자는 도박과 같았다. 구조조정의 칼바람으로 한 해 한 해는 살얼음 위를 걷는 듯 한 위기감이 돌았다. 고용은 자연히 절벽으로 치달았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은 이 같은 위기를 무색하게 했다. 투자를 가속화, 미래를 준비하는 데 전력을 쏟았고 구조조정과 함께 소모적 경쟁을 최소화 했다. 위기 속에서 오히려 그 경쟁력을 한껏 발휘한 4대 강자들의 행보를 살펴봤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권오준 회장 "I am POSCO"
②우유철 부회장 現代 고객 특화 가치 창출

③장세욱 부회장 벼룩의 한계 ‘100년 기업의 초석’

④이순형 회장 “불황 대비한 이들에게 기회”

◇장세욱號 고로사 변신 브라질 돛달다


“동국제강 직원들의 자기제한은 무엇입니까? 과연 이 유리컵을 치웠을 때 우리는 더 높이 뛸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해봐야 할 것입니다. 각자 스스로 자기 제한이 무엇인지를 고민해보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을 뛰어 넘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시기 바랍니다” - 2017년 장세욱 부회장 신년사 中-

동국제강은 2016-2017년 철강업계의 ‘신데렐라’로 통한다. 2016년 포스코와 손을 잡고 국내 최초로 브라질에 CSP제철소를 건설, 고로사로 변신해 주목을 받았다.
2017년 1월 이곳 CSP제철소에서 생산한 슬래브 30만 톤을 수출했다. 고로 가동 1년도 안된 시점에 풀캐파 조업 수준인 연간 생산 277만 톤, 판매 296만 톤 목표를 수립해 연말까지 순항했다. 3분기 기준 10분기 연속 흑자 달성 행진도 이어갔다.

올해는 제2의 호황을 누린 철근사업이 힘을 보탰다. 단압밀로서는 전세계 최대 규모인 컬러강판 부문의 실적도 든든한 버팀목이 됐다.

냉연단압밀(mill)의 한계를 뛰어넘는 도전이었고 성과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한국신용평가가 5월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기업평가는 6월 잇따라 같은 평가를 내리고 12월 기업신용등급을 BBB-로 직전 BB+에서 상향 조정했다, 동국제강으로서는 2년6개월 만에 투자적격 평가를 받은 것이다.

장세욱 부회장은 특유의 기업 소통 문화 확산에 발벗고 나섰다. 업계에서도 이를 주목, 호평을 잇따라 내렸다. 올해 초 ‘부국강병’이라는 신경영방침을 공표했다.

원칙과 신뢰를 갖자는 <윤리경영>,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하자는 <책임경영>, 의사결정의 신속성을 뜻하는 <스피드경영>, 직원의 경쟁력을 키우자는 <인재경영, 몰입과 창의적 소통으로 미래를 준비하자는 <미래경영> 등 다섯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불투명하고 예측이 불허한 환경 속에서 임직원들의 역량을 결집하고 봉형강 판재류 그리고 브라질 CSP제철소까지 국내외를 아우르는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한 해로 평가된다.

이미지 확대보기

매출이익 급증 재무안정성 높여 ‘두 마리 토끼를 잡다’

동국제강은 올해 최종 보고서인 1~3분기 기준 개별 기준 매출 4조1208억 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26.4% 급증했다. 영업이익은 1290억 원으로 32.2% 감소했다. 3분기 기준 10분기 연속 흑자달성 행진을 이어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업이익률은 3.1%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7%p 낮아졌다. 포스코 현대제철과 같이 만성적자에 시달렸던 후판부문의 손실이 타격을 입혔다. 하지만 철근 등 봉형강과 판재 주력인 컬러강판 부문에서 좋은 실적을 냈다.

부채비율은 3분기 말 기준 122.6%로 작년 말 135.9%에서 4.0% 낮췄다. 현금흐름도 개선됨면서 재무 안정성을 높였다. 수익창출력과 함께 신용등급을 높이는 요인이 됐다.

시가총액은 27일 종가 기준 1조116억 원을 기록했다. 작년 말 대비 4.0% 감소했지만 2015년 말 대비 84.5%나 급증했다.

투자는 47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2%(423억 원) 줄었다. CSP제철소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 이후여서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김종혁 기자 jh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