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무대로 거침없이 '질주'한다

공유
0

글로벌 무대로 거침없이 '질주'한다

[포춘 500] 한국(2) 현대자동차

[글로벌이코노믹=김영호 기자]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는 창업자인 정주영 회장에 의해 1967년 포드자동차와 합작회사로 설립된 후 1976년부터 한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 포니를 시판하기 시작했다. 1984년 포니의 생산이 80만대를 넘어섰으며 국내 최초로 캐나다에 수출하기 시작했다.

1998년 기아자동차를 인수했으며 현재 인도, 중국, 터키, 미국, 러시아, 체코 등지에 해외공장과 연구 시설을 두고 19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현대차는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Best Global Brands 2013'에서 브랜드 가치가 90억 달러(약 9조1800억원)로 평가돼 글로벌 43위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2012년 대비 브랜드 가치가 20.5% 성장했고, 순위는 10단계 수직 상승해 글로벌 50대 브랜드에 포함됐다. 2013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104위, 한국기업 중 3위를 차지했다.

표 1. 현대자동차의 개요




글로벌 명칭

Hyundai Motor Company, HMC(현대자동차)

중국어

現代自動車(株)

한국어

현대자동차㈜

영어

Hyundai Motor Company, HMC

약칭

현대차

설립일

1967년 12월 29일

산업분야

자동차

주요

인물

설립자

정주영

주요제품

및 서비스

승용차, 중대형버스, 트럭, 민수특수차량 등

회장

정몽구

본사

서울

직원

6만 3802명(2014년 3월 31일)



현대차가 글로벌 강자가 되었음을 보여 준 것은 2011년 디트로이트 오토쇼였다. 미국 진출 25주년을 맞은 현대자동차는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소비자들에게 어필했다. 현대자동차가 사실 소비자가 기대하는 것보다 판매가 높지 않다는 비판이 있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현대자동차가 언제나 새로운 형태의 모델을 출시해 글로벌 시장에서 개발력을 과시한다는 데 그 의의가 크다. 벨로스터를 발표했던 디트로이트쇼장에서 모터쇼 역사상 현대자동차 부스에 가장 많은 인파가 몰렸던 것이다.

다음은 현대차의 경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부문별 특징, 경쟁력,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살펴봤다.

첫째, 현대차는 글로벌 톱 브랜드에는 속하지 못하지만 신흥시장인 중국에서의 매출은 양호하다. 올해 1분기 중국시장에서 현대차는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27만4000대를 판매했다. 작년 11월 출시된 중국 전략 차종인 미스트라(중국명: 밍투)가 2만6000대 판매됐으며, 싼타페가 전년 동기 대비 30.2% 증가한 2만 대, 베르나가 9.2% 증가한 5만3000대가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상용차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 8월 쓰촨성 쯔양시에 16만 대 규모의 상용차 공장을 건설해 올해 상반기 완공을 앞두고 있다.

한편 인도 시장에서는 올해 1분기 전년대비 3.7% 감소한 8만8000대가 판매됐는데 이는 현지 시장 부진으로 대다수의 모델이 부진한 반면, 작년에 출시된 그랜드 i10는 3만 대가 판매돼 좋은 조심을 보이고 있다.

2. 현대자동차의 주요지표


구분

2013 년

2012년

2011 년

매출

87조3076억 원

84조 4697억 원

77조7979억 원

증감율

3.4%

8.6%

-

영업이익

8조3154억 원

8조4406억 원

8조755억 원

증감율

-1.5%

4.5%

-

순이익

8조9934억 원

9조611억 원

8조1049억 원

증감율

-0.7%

11.8%

-



둘째, 현대자동차의 전체적인 실적에 있어서는 2012년 9%에 가까운 매출 성장세를 보이다 2013년엔 3.4%로 주춤했다. 매출은 표2에서와 같이 2013년 약 87조3076억원을 달성해 2011년 77조7979억원 대비 약 12.2%, 전년 대비 약 3.4%가 증가했다. 영업이익 역시 2013년 약 8조3154억원으로 2011년 약 8조755억원 대비 약 3.0%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또한 순이익은 2013년 약 8조9934억원으로 2011년 약 8조1049억원 대비 약 11.0% 늘어났으며, 전년 대비 약 0.7% 감소했다.

2013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는데 미국과 유럽에서의 실적저조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미국 시장에서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한 16만 대를 판매해 4.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주요 모델인 YF 소나타가 14.9% 감소한 4만대, 엘란트라가 2.4% 감소한 5만3000대가 판매됐다. 주요 모델의 노후화가 그 원인으로 분석되지만 브랜드 가치 향상을 통해 2013년 2월 미국 누적판매 800만 대를 넘어서는 등 성장세는 이어가고 있다.

유럽시장의 경우 올해 1분기 현대차는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한 9만6000대를 판매했다. i10의 경우 신차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2.7% 증가한 1만9000대를 판매했으나, 주요 모델인 i30가 부진해 전체적으로 감소했다. 따라서 수익성 확보를 위해 과도한 인센티브를 지양하고 인프라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4년 3월 EU의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자로 최종 선정돼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2014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 도전해 멕시코 랠리에서 3위에 오르는 등 차량의 성능을 증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차의 글로벌 경쟁력은 중소형차 부문에서만 유지되고 있다. 고급차는 다임러 벤츠, BMW, 폭스바겐 등에 밀리지만 중저가 차량의 경우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꾸준하게 높이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일본 자동차업체인 도요타, 혼다, 닛산 등과도 중저가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2013년 미국 시장조사업체인 제이디파워(J.D.Power)사가 발표한 신차품질조사(IQS)에서 제네시스가 중형 고급차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쏘나타는 내구품질조사(VDS)에서 중형차 부문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현대차는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중저가 모델로 겨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고급차량의 경우 한국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량에 밀려 시장점유율이 하락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판매가격이 해외보다 높다는 비판과 국내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품질이 떨어진다는 논란이 제기되면서 국내 소비자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품질향상이 생존의 지름길


현대차는 전 세계 자동차시장의 공급과잉과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한 중국 자동차업체들의 진출 등으로 치열한 경쟁에 점점 직면하고 있다. 현대차는 전 세계 각 주요 거점에 공장을 건설해 해외 연구개발 및 판매 조직을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글로벌화를 통해 경쟁을 돌파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글로벌화 초기 단계에서 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했으나 글로벌화가 진행될수록 판매와 생산의 글로벌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각 현지 시장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고 선진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다시 연구개발의 글로벌화를 추진하고 있다.

자동차시장전문가들은 1980년대부터 글로벌화를 추진한 폭스바겐과 도요타 등의 경쟁업체들의 글로벌 전략은 이미 통합 단계에 진입했으므로 이 업체들과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현대차는 더욱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글로벌화를 실행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현대차는 외형적으로 글로벌 조직은 갖춰졌으나 조직원의 글로벌 마인드의 결여, 글로벌 스탠더드에의 적합성 부족 등 조직의 진화가 역량의 진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차의 글로벌화가 외형적인 확산단계를 넘어 진정한 통합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글로벌 마인드와 구성원들의 글로벌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현대차는 제조능력은 보유하고 있지만 품질 면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 디자인은 글로벌 선도업체와 비교해 떨어지지 않지만 품질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비평 속에 한국 시장도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 최근 정몽구 회장이 품질혁신을 강조하면서 현대차가 품질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품질 측면에서 소비자의 신뢰를 획득하지 못하면 정몽구 회장의 글로벌 전략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현대차의 미래는 품질향상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은 현대차 내부 구성원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