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집도 모자라 車까지 맡겨 생계대출

공유
0

집도 모자라 車까지 맡겨 생계대출

저소득층·자영업자, 비은행권 위주 대출 사례 급증
자동차담보대출 취급액 순증...
빚상환 능력은 줄어들어

[글로벌이코노믹=김재현기자] 경기 침체 여파로 서민들의 자금줄이 막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소득은 늘지 않는데 지출은 많아지면서 빚 상환 능력도 줄어드는 일명 '마이너스 가계'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이나 자영업자들은 비은행권 등을 위주로 한 생계형 대출을 받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담보물의 마지노선인 자동차까지 맡기며 생활자금을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현대캐피탈에 따르면, 자동차를 담보로 한 자동차담보대출 취급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올 7월 현재까지 44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11월 8억8000만원이었던 것이 2012년 4월 38억2000만원, 5월 42억4000만원, 6월 40억4000만원으로 순증하고 있다.

자동차담도대출의 담보율은 차량가의 80% 수준이며 최저금리는 8.9%로서 제2금융권의 신용대출금리와 자동차 할부금리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주택이나 자동차 등 유동자산이 있는 서민들은 그나마 자금을 만들 수 있는 우산이 있어 다행이지만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단비마저 맞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캐피탈 관계자는 "당사가 취급하는 자동차담보대출의 취급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보아 경기가 좋지 않은 건 사실"이라면서 "대출을 받을 곳이 마땅치 않아 대부업으로 몰리는 서민들에게는 저금리 대출로 인해 자금융통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며 설명했다.

9000조의 가계부채 현실로 인해 저소득층 및 자영업자계층 고위험 가계대출이 확대되고 있다.

경기둔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해 상환능력이 악화될 수 있는 1,2분위 저소득층과 자영업자계층의 고위험 가계대출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비은행권 등 위주로 생계형 대출이 증가하며 가계부채의 질 역시 낮아졌다.

가장 저소득층인 1분위계층의 평균 가처분소득대비 금융부채는 201.7%로 5분위(103.2%) 계층 보다 2배가량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159.2%로 상용근로자의 2배에 이른다.

저소득층과 자영업자 계층은 평균적으로 상환능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한계차입자의 비중도 높아가고 있다.

가계의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가처분소득대비 우너리금상환액 비중(DSR)의 경우, 저소득층과 자영자의 경우 DSR이 40%가 넘는 고위험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득분위별로 소득 1분위 경우 가구 전체 중 9.2%, 부채보유가구 중 28%가 고위험군에 속한다. 소득 2분위 역시 가구 전체 가운데 12.9%, 부채보유가구의 21.6%가 고위험군에 포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다중채무자의 고위험 가계대출이 확대되는 점이 우려된다.

다중채무자란 세 군데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대출자를 말한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첫 번째 대출을 상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로 대출을 빌려 이전 대출의 이자 혹은 원금일부를 상환하는 '악순환'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추가대출의 경우, 일반적으로 2금융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원금상환여력도 부족한 상태에서 금리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012년 3월 기준 대출이 3건 이상인 다중채무자는 약 182만5000명 정도로 이는 2010년 3월에 비해 60여만명이 늘어났다.

이규복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고위험 가계부채 차입자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정확한 실태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고위험부채 규모 등을 감안해 금융기관들이 향후 필요한 충담금을 적립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연구위원은 신용카드사와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단기대출에 대해 대출규모의 누적을 억제하기 위한 한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예를 들어 리볼빙 결제나 이자부상환 등으로 인한 단기대출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인별 여신한도나 신용한도에 대한 보수적인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생활안정자금대출로 인한 부실가능성이 높은 저소득층의 경우 구조조정 과정에서 저소득층에게 적합한 서민금융, 일자리 확보 등의 정책 마련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