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소비침체 장기화로 일자리 96만개 날아갔다”

공유
0

“소비침체 장기화로 일자리 96만개 날아갔다”

[글로벌이코노믹] 소비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일자리가 매년 96만 개 줄어들고 잠재성장률도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3일 '소비의 장기침체로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내용의 경제 주평을 통해 "소비의 장기침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11년까지 소비증가율은 3.1%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4.2%를 밑돌았다.

외환위기 이전인 1990~1997년 연평균 소비증가율(7.4%)이 GDP 증가율(7.5%)과 비슷했던 것과는 딴판이다.

연구원은 소비증가율이 GDP 증가율을 쫓아갔다면 소비가 연평균 50조원 증가해 일자리가 매년 96만2,000개 늘고 고용률이 2.5%포인트 높았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 경우 가상 잠재성장률은 5%로 실제 잠재성장률(4.5%)에 비해 0.5%포인트 더 높아질 수 있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2008년부터 3%대로 추락했던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도 이후 3년간 내내 4%대를 유지했을 것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연구원은 소비의 장기침체 배경으로 ▲실질소득 증가율 하락 ▲역(逆) 자산효과 ▲비소비지출 증가 ▲중산층 위축을 꼽았다.

실질소득 증가율은 같은 기간 6.9%에서 0.8%로 급감했다. 신규취업자는 44만7,000명에서 21만6,000명으로, 실질임금 증가율은 5.7%에서 1.5%로 떨어진 탓이다. 경제위기 때마다 나온 물가급등은 소득증가세를 더욱 둔화시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가하락으로 가계의 금융자산이 감소하고 주택매매가격이 급락한 점도 소비심리를 위축시켰다.

게다가 가계의 이자부담이 2002년 34조4,000원에서 지난해 55조5,000억원으로 커진 점도 소비를 위축시켰다. 이 때문에 실질 소비감소액은 같은 기간 27조원에서 34조9,000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럼에도 세금이나 연금, 사회보험 등 공적 비소비지출은 증가했다. 1990년 5.6%였던 세금, 연금, 사회보험의 비중은 작년 11.2%로 크게 상승했다.

평균 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소득 하위 20%)의 소득이 정체되고 소비성향이 낮은 고소득층(소득 상위 20%)의 소득이 크게 늘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핵심 소비계층인 중산층 비중은 1990년 75.4%에서 지난해 67.7%로 줄어든 반면에 빈곤층은 7.1%에서 12.4%로 늘었다. (경제팀)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