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체 편의점 수 1만96개 중 강남3구에 2326개(23%) 몰려
이미지 확대보기22일 부동산 조사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편의점이 가장 많은 구는 강남구(1121개)로 조사됐다. 이어 송파구(606개), 서초구(599개) 순으로 많다.
서울시 전체 편의점 수 1만96개 중 전체의 23%인 2326개가 강남 3구에 몰려 있는 셈이다. 간단히 말해 편의점 넷 중 하나가 강남에 있는 것으로 봐도 크게 틀리지 않다.
편의점이 강남 3구에 몰려 있는 것은 강남3구의 인구가 170만여 명으로 배후수요가 탄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편의점 수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동인구'다. 편의점 수 상위 6개 지역(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마포구, 영등포구, 중구) 모두 유동인구가 많은 중심업무지역이기 때문이다.
공공데이터포털(2017년) 자료에 따르면, 구별 사업체 수는 ▲강남구(7만2511개) ▲중구(6만2936개) ▲송파구(4만6676개) ▲서초구(4만6207개) 순으로 많다. 사업체 수가 많을수록 소비력을 갖춘 직장인 유동인구도 풍부해진다.
특히 서울 25개구 중 유일하게 편의점 수 1000개 이상인 강남구는 거주인구수와 사업체 수 모두 3위 안에 드는 지역으로 주거인구와 유동인구 모두 풍부한 특징이 있다. 반면 편의점 수가 적은 노원·은평·도봉구는 사무실이나 유흥가가 많지 않은 주거지역에 속해 상대적으로 유동인구가 적고 상권 활성화도 불리하다.
부동산114는 지역 내 1인가구 비중도 편의점 입점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현재 서울시에서 1인가구 비중이 높은 구는 관악구(9.1%, 10만6865가구)이고, 강남구(5.3%, 6만2774가구), 송파구(5.0%, 5만8848가구)의 1인가구 거주 비중도 상당히 높다. 반면 도봉구의 1인가구는 2만9469가구(2.5%)로 집계돼 지역 내 1인가구도 편의점 입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























![[실리콘 디코드] "글로벌 톱5도 꼼짝 못한다"…반도체 '소재의 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11014809049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