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암동에 거주하는 주부 H씨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취미생활인 사진촬영을 즐긴다. 자녀들 사진은 물론 동호회 사진 등 그녀의 일상을 폰카에 담곤한다. 그러던 그녀가 얼마 전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을 보고 기겁하고 말았다. 동호회 사람들과 수영하는 장면이 인터넷에 올라온 것이다. 그녀만이 간직한 사진이 유출된 것을 확인하고 사이버수사대에 수사를 의뢰한 결과, 그녀의 포탈계정을 해킹하여 모든 사진을 훔쳐보고 있었던 것이다.
스마트한 삶을 꿈꾸는 30대 직장인 K씨. 스마트폰으로 스마트카에 시동을 걸고 퇴근길에 오른다. 퇴근 후에는 푹신한 소파에 누워 드라마를 보다가 맘에 드는 제품을 스마트TV로 바로 주문한다. 이런 K씨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CCTV와 스마트폰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이 해킹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스마트기기 사용을 자제할 수 밖에 없게 됐다 .
이에 따른 피해액은 오는 2015년 13조4000억원, 2020년 17조7000억원, 2030년 26조7000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21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를 통해, 사물인터넷 보안사전를 사전에 방지하는 대책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사물인터넷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보안위협은 더 이상 가상의 사이버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 우리 생활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융합 보안사고는 제조업, 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조업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수요를 감소시켜 상당한 규모의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스마트카에서 보안사고가 발생, 국산 자동차의 최종수요가 10% 감소한다면 연간 약 24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피해액이 약 1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서비스산업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한다면 해당부문을 일정 기간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타산업부문에도 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례로 금융기관에 대한 보안공격으로 인해 금융산업에서 1%의 지장을 받게 된다면 금융산업 자체에 1조7000억원 이상, 전산업에 걸쳐 간접적으로 6000억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KIET는 분석했다.
통신, 교통, 전력망 등의 국가기간시설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한다면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원은 경고했다.
우리나라 인터넷망에 1%의 작동불가(inoperability) 상태가 발생하면 전산업에 걸쳐 약 1조4000억원에 육박하는 생산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선진국의 경우 지식정보보안 관련 규제와 지원을 위한 통합적인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보보안의 관리·감독 체계는 국가·공공 분야는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 민간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 국방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 등에서 각각 분야별 임무를 분담하고 있는 실정.
이에 따라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사고 발생 시에는 기관 간의 정책 혼선이 우려되고 있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향후 보안피해는 국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수 있어 방재·안전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사고피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관설립이 시급하다”면서 “융합보안산업을 육성하려면 국내 IT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간 협업이 필요하고, 국제표준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