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그림자 금융과 지방 정부 부채에 따른 신용경색이 우려되고 있다. 중국이 높은 경제 성장률은 물론 세계의 공장을 넘어 세계의 소비대국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점은 다른 나라들의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음을 뜻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 세계 경제 또한 위태로울 수 있다.
그는 이어 “부실의 핵심으로 지목되는 지방정부-부동산-산업의 버블과정에 그림자 금융이 유동성 공급역할을 담당해 왔는데 중국 당국이 그림자 금융 규제를 강화하면서 이가 오히려 우려로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림자 금융이 발생시킨 대표적인 위기 사례가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는 그 이전 미국 부동산 시장이 활황을 넘어 버블로 가격이 치솟을 당시, 상업은행들이 신용등급 중 가장 낮은 단계의 서브프라임 등급에 주택담보대출을 해준 것이 시발점이었다.
하지만 이 자체만으로는 큰 문제가 아니었다. 정작 위기를 촉발시킨 원인은 미국 상업은행, 투자은행들이 자기자본비율(BIS) 규제를 피해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들을 늘린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CDO(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부채담보부증권)로 이는 서브프라임 등급의 부실담보부증권을 최고 등급인 프라임 등급과 묶어 새 우량상품으로 만들었다.
중국의 그림자 금융과 이것이 유사한 점은 중국 정책당국이 대출 규제에 나서자 이를 피해 이와 같은 그림자 금융을 적극 활용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큰 문제는 ABCP(자산유동화 기업어음) 등의 단기자금 형태로 조달해 장기로 자금을 운용하는 방식이다. 이 역시 미국 발 금융위기와 유사한 것으로 장기로 자금을 운용하는 동안 단기상환 자금들이 지속적으로 만기가 도래하면서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2007년 서브프라임 위기가 대두되면서 주택버블이 꺼지기 시작했고 이에 놀란 단기투자자들이 대량 환매에 나서면서 결국 장기 운용상품까지 영향을 미치게 됐다. 이는 유동성을 악화시켰으며 헐값 매도는 물론 매도가 매도를 부르는 악순환이 지속되어 결국 주택시장은 붕괴했고 이와 연관된 모든 자산들은 연속적으로 붕괴해 금융위기를 발생시켰다.
최근 우리나라 기관투자자들도 위안화 ABCP에 대거 투자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위안화 예금잔액이 3억1000만달러(3335억원)에서 76억6000만달러(8조1330억원)으로 늘었다. 5개월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24.4배로 폭증했다.
위안화 예금으로 자산이 몰리는 이유는 단순하다.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이로 인해 수익성 재고가 필요한 시점에서 조금이라도 금리가 높다면 이는 기관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상품이 되기 때문이다. 2012년 말부터 중국 국채금리가 꾸준히 상승한 원인은 중국 당국의 규제 영향도 있지만 위험이라는 요소도 포함돼 있다. 결국 자금이 몰리면 몰릴수록 트리거(Trigger, 뇌관)가 발동될 확률은 높아진다.
한편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운용자금이기에 안전하다고 하지만 중국 경제가 조금이라도 이상 징후를 보인다면 이러한 자산은 중국금융시장에서 급격히 이탈한다. 결국 이가 장기 운용자산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또 다시 실물시장에 영향을 미쳐 글로벌 금융위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이 미국 발 금융위기와 유사하다. 특히 장단기불일치(Mismatch)는 금융위기의 트리거 역할을 했기에 이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그림자 금융이 크게 우려할만한 사항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시됐다. 지난 13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전체회의가 끝난 후 “중국에서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 접근성이 높지 않은 중소기업이나 취약 계층이 그림자금융을 이용한다”며 “이는 다른 선진국의 사례와 동일한 잣대로 비교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중국 당국이 그림자 금융에 대한 중요성을 잘 알고 있어 이를 잘 대처해 나갈 것”이라 덧붙였다.
김 총재는 또한 국내 위안화 예금 급증에 대해 “국내의 풍부한 달러를 적절히 이용한 계기”라며 “위안화 예금증가로 인해 외채가 증가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하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 또한 “중국정부의 정책 방향성은 그림자금융에 대한 규모 파악을 통해 통제 가능한 리스크로 전환시키는 것”이라며 “단기간에 과도하게 강력한 정책의 시행 가능성은 지극히 미비하다”고 주장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중국 그림자 금융에 대한 우려는 장단기 불일치다. 단기 자금을 추가적으로 조달하지 못할 경우 연쇄적으로 금융시장과 실물 시장의 위축은 물론 시장 붕괴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인식하고 있는 중국 당국의 정책이 시스템 리스크 전이를 막을 수 있다는 측면과 시스템 리스크는 통제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한편 헤지펀드의 대가 조지 소로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또한 ‘그림자 금융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서 시장 참여자들을 긴장케하고 있다.
[이성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