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07:01
미국의 인터넷 업체 야후가 자회사인 AOL을 이탈리아의 테크 기업 벤딩스푼스에 매각하는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거래 규모는 약 14억 달러(약 1조96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양측이 막바지 단계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최종 계약은 아직 체결되지 않았으며 협상이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AOL은 한때 인터넷 시대를 대표하던 브랜드로 지난 2000년 타임워너와의 합병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 사례를 남겼지만 이후 대규모 손실과 규제 조사로 몰락을 겪었다.야후는 2021년 미국 사모펀드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가 버라이즌으로부터 50억 달러(약 7조2025.10.02 02:55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국가 자산 약 3000억 달러(약 421조 원)를 우크라이나에 주는 방안이 구체화하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보복 위협에 맞서 1990년대 쿠바 사례를 본뜬 대응책이 주목받고 있다.워싱턴포스트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각) 스티븐 레이드메이커 코빙턴앤벌링 로펌 수석 변호사의 기고문을 통해 이런 내용을 보도했다. 레이드메이커는 1996년 헬름스-버튼법 제정 당시 하원 외교위원회 수석 법률고문을 지냈다.독일 지지로 장애물 제거...G7 공동 행동 모색서방은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을 시작한 뒤 동결한 러시아 국가 자산을 우크라이나 지원에 쓰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미 의회는 지난해 미국 내 보유 중2025.10.01 11:16
현대로템이 폴란드군 전력화를 위한 K2PL 전차의 최종 설계를 공개하며 현지 생산에 본격 착수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입증된 드론 위협에 대응하는 2단계 방어체계와 폴란드 부품을 결합한 NATO 표준 전차로 거듭난다. 우크라이나 군사전문매체 밀리타르니(Militarnyi)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능동방어체계와 전자전 장비를 통합한 K2PL 전차의 설계 영상을 공개했다.2단계 드론 격퇴 시스템 장착K2PL 전차는 블랙팬서(Black Panther, 흑표)로 불리는 한국형 K2 전차를 폴란드에 맞게 개량한 모델로, 드론 위협에 대응하는 이중 방어망을 갖췄다. 첫 번째 방어선은 드론 통신을 차단하는 차체 장착형 전자2025.10.01 10:59
스위스 제네바에 본사를 둔 어드밴티지탱커스가 2027년 인도 예정인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1척과 LNG 추진 수에즈막스 2척을 한국 조선소에 주문했다고 지난달 30일 (현지시각) 스프래쉬247이 보도했다.어드밴티지탱커스는 2014년 설립 이후 26척의 탱커를 운항하며, 유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원유 운송 능력과 친환경 운항 옵션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이번 수주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한화오션 32만t급 VLCC 1척, 2027년 9월 인도업계에서는 어드밴티지탱커스가 한화오션 옥포조선소에 32만t급 초대형원유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고 전한다.업계 관계자는 “동일 선형의 과거 계약 가격이 1억 2970만 달러(약 1825억 원)에 달했2025.10.01 07:34
기아가 멕시코 누에보레온 공장에서 100% 현지 생산한 첫 차량인 K4 해치백을 유럽 주요 시장에 차례로 수출한다고 지난 9월 30일(현지시각) 에너지21이 보도했다.누에보레온 공장서 완전 현지 생산 체제 구축누에보레온 공장 생산라인에서 완성된 K4 해치백은 독일,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갈에 차례로 공급된다. 이어 미국 시장 출시도 예정되어 있다. 사무엘 가르시아 누에보레온 주지사는 출고식에서 "K4 해치백이 100% 누에보레온에서 만들어졌다"고 밝혔다.현재 누에보레온 공장에는 2500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에서는 "멕시코 생산 차량이 유럽에서 검증받으면 북미 판매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2025.10.01 06:38
그리스 선주 아담 폴레미스가 이끄는 뉴쉬핑은 수개월간 중국 조선소와 협상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뒤 한국 삼성중공업을 최종 건조사로 택했다.시장 소식에 따르면 뉴쉬핑은 삼성중공업과 수에즈막스 탱커 2척을 2376억 원(1억6900만 달러) 규모로 발주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각) 트레이드윈즈가 보도했다..협상과 계약 결말뉴쉬핑은 올해 초 중국 CSSC 청도·베이하이 조선소와 최대 4척 계약을 위한 기본합의서를 맺었으나 실제 주문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후 아담 폴레미스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들을 두루 살핀 뒤 삼성중공업과 손잡았다.업계 중개업체들은 탱커 한 척당 가격을 약 8300만 달러(약 1160억 원)로 본다. 이는 최근 한국2025.10.01 05:40
러시아의 석유 생산량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부과된 글로벌 제재로 인해 상당한 감소에 직면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러시아 석유 공급이 20%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이는 러시아가 생산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데 필요한 필수 서방 기술과 장비에 접근할 수 없게 된 데 따른 것으로, 세계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는 시기와 맞물려 향후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각) 에너지 전문 매체 오일 프라이스가 보도했다.월스트리트 저널(WSJ)의 최근 기사에 따르면, 러시아의 석유 생산 감소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다.우선,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제재로 인해 러시아는 석유 생산 유1
한화오션, 캐나다 잠수함 사업 '최종 경쟁' 우위…2035년까지 4척 먼저 인도2
중국 스텔스 전투기 J-20 벌써 300대…한국 KF-21 보라매 2026년 실전 배치3
삼성전자, HBM4 D램 수율 50% 벽 넘었다…SK하이닉스와 '쩐의 전쟁'4
퀄컴·미디어텍, TSMC 2나노 단가 인상에 삼성 파운드리 ‘듀얼 소싱’ 검토5
마이크론 중국 철수로 삼성·SK하이닉스 반사이익…중국 메모리 생산 비중 최대 45%6
BNP파리바 “테슬라 주식 팔아라”…주가는 반등7
테슬라, 삼성의 심장 화성에 R&D 거점…'생산' 넘어 '설계' 동맹으로8
잘 나가던 오라클, AI 목표 회의론에 주가 7% '뚝'...1월 이후 낙폭 최대9
中, 러시아 석유 연 89조 원 수입…우크라이나 전쟁 배후는 베이징